그림1. CDR3 Formation and Genetic Recombination Mechanism in TCRβ Chain Development
(출처: Migalska, M., Sebastian, A. & Radwan, J. Profiling of the TCRβ repertoire in non-model species using high-throughput sequencing. Sci Rep8, 11613 (2018). https://doi.org/10.1038/s41598-018-30037-0)
TCR Sequencing은 T세포가 특정 항원에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분석하는 면역 프로파일링 기술로, T세포 수용체(TCR)의 다양성을 분석하여 동일한 TCR 서열을 가진 T세포 클론의 확장 여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. 이를 통해 특정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T세포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TCR의 다양성은 V(D)J 재조합이라는 유전적 메커니즘에 의해 형성됩니다. 이 재조합 과정에서 다양한 V, D, J 유전자 세그먼트가 결합하여 새로운 TCR 서열을 생성하며, 이를 통해 면역 시스템이 다양한 병원체를 인식할 수 있게 합니다. 특히, V(D)J 재조합의 CDR3 부위는 항원 인식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
TCR Sequencing은 이러한 V(D)J 재조합으로 생성된 TCR의 다양성을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는 강력한 Sequencing 기법 입니다. 이 기법은 암 면역요법, 자가면역 질환, 감염성 질환 연구 등에서 폭넓게 활용되며, 특히 신종 바이러스나 변이체에 대한 면역 반응을 연구하는 데 중요하게 사용됩니다.
TCR Sequencing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 테라노트에서 설명드리겠습니다.
+ 테라젠바이오에서 신규 런칭된 Long Read Sequencing 서비스에 대해 궁금하시다면 아래 브로셔를 참고 부탁드립니다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