그림 2는 노화된(aged) 숙주와 젊은(young) 숙주에서의 1차 림프 조직(primary lymphoid tissue), 2차 림프 조직(secondary lymphoid tissue), 종양 조직(tumor tissue) 내 면역 환경 변화를 보여줍니다.
1. 1차 림프 조직(Primary lymphoid tissue) - 골수와 흉선 에서의 노화 변화
: 노화 그룹에서는 지방세포(Adipocytes)가 Thymic involution이 발생시켜, T세포 분화 및 발달을 저하시킴
: 골수조혈(Myelopoiesis)이 증가됨에 따라, 면역 억제성 세포(MDSCs Myeloid-derived suppressor cells), M2 대식세포(Macrophage 2)도 증가하여 T세포 기능 및 분화를 억제함
2. 2차 림프 조직(Secondary lymphoid tissue) - 림프절 및 항원제시세포(APC)에서의 변화
: 노화로 인해 T세포의 피로도(Exhausted T cell)가 높아져, PD-1/PD-L1 경로가 더욱 활성화되어 면역 관문억제제(ICB)의 효과가 감소할 가능성이 있음
3. 종양 조직 (Tumor tissue) - 암 조직 내 면역 환경과 면역관문억제제(ICB) 반응성 변화
: 종양미세환경(TME)에서는 면역 억제 세포들과 조절 T세포(Treg)가 증가하여 항종양 T세포 반응(Anti-tumor T cell response)이 감소하고, 이로 인해 면역관문억제제(ICB)에 대한 치료 효과가 저하될 가능성이 있음
노화가 진행되면서 T세포 생성 및 활성화가 감소하고, 면역 억제 세포(myeloid suppressive cells, Treg cells)가 증가하여 암 조직 내 면역 반응이 저하됩니다. 이는 면역관문억제제(ICB) 치료 효과를 감소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. 따라서, 저자는 노화된 암 환자에서 면역 억제 환경을 조절하는 전략이 필요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. |